아사쿠라 후미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사쿠라 후미오는 일본의 조각가이자 교육가로, 1883년 오이타현에서 태어나 1964년 사망했다. 도쿄 미술학교에서 조각을 전공하고, 일본 예술원의 '분텐' 공모전에서 수상하며 이름을 알렸다. 그는 고양이를 주제로 한 작품을 많이 제작했으며, 특히 1909년 작품인 '매달린 고양이'는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아사쿠라는 제국미술원 교수를 역임하며 많은 조각가를 양성했고, 자신의 아틀리에를 개조하여 아사쿠라 조소 숙을 설립하여 후학 양성에 힘썼다. 그의 딸들은 각각 화가와 조각가로 활동했다. 그는 자연주의적 사실 묘사에 기반한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말년에는 문화훈장을 수훈했다. 현재 도쿄와 오이타현에는 그의 작품을 전시하는 박물관이 있다.
아사쿠라 후미오는 1883년 오이타현에서 태어나 1964년 도쿄에서 사망한 일본의 조각가이다. 도쿄 미술학교(현재의 도쿄 예술대학)를 졸업하고 조각가로 활동하며 일본 예술원 회원, 도쿄 미술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다.
아사쿠라 후미오는 고양이를 소재로 한 작품과 다양한 인물 조각으로 유명하다. 페넬로페 메이슨의 『일본 미술사』에서는 그의 작품, 특히 1909년 작 『매달린 고양이』에 나타난 사물 관찰의 충실함을 높이 평가했다.[8]
2. 생애
일본 예술원의 연례 '분텐' 공모전에 참가하여 1908년 ''야미''(闇, "어둠")로 2등상을 수상하고,[3] 1910년에는 ''하카모리''(墓守, "묘지기")로 상을 받으면서 주목받았다.[2][4][5] 1910년(메이지 43년), "묘지기" 발표 후, 친구 오기와라 로쿠잔의 죽음 등으로 싱가포르, 보르네오 등으로 시찰 여행을 떠났으며, 이노우에 가오루의 밀정 역할로 8개월 정도 체류, 귀국 후 보고서를 제출했다.
1924년 제국 미술원 회원이 되었지만, 1928년 제전 제도 개혁을 건의한 후 사임했다.[13] 같은 해 아사쿠라 숙에서는 숙생들이 아사쿠라의 제전에 대한 행동을 문제 삼아 안도 테루 등이 성명서를 제출하고 탈퇴했다.[15]
1944년 도쿄 미술학교 교수를 사임하고 제실기예원이 되었다.[17] 전시 중 금속 공출로 400여 점의 작품이 소멸했지만, 원형은 300여 점이 남았다. 1954년 일전 이사, 1956년부터 1959년까지 일본 예술원 제1부 부장을 지냈으며, 1958년에는 일전의 고문으로 취임했다.
그의 딸 朝倉摂|아사쿠라 세츠일본어(1922-2014)와 朝倉響子|아사쿠라 쿄코일본어(1925-2016)는 각자 예술가가 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아사쿠라 후미오는 1883년 큐슈 서부 오이타현 아사지(현재의 분고오노시)에서 태어났다. 11남매 중 다섯째였던 아사쿠라는 10세 때(1893년) 아사쿠라 타네히코의 양자가 되었다.[2]
1902년 당시 조각가로 활동하던 형 와타나베 쵸난을 따라 도쿄로 상경했다. 처음에는 하이쿠 시인을 지망하여 마사오카 시키에게 배우려 했으나, 9월 20일 시키의 장례식 날과 겹쳐 무산되었다. 이후 형의 영향으로 조각에 매료되어 도쿄 미술학교(현 도쿄 예술대학) 조각선과에 입학했다.[2]
1907년 졸업 작품 "진화"를 발표하고 연구과로 진학, 야나카에 아틀리에를 열었다. 문부성 주최 제2회 문전에 "어둠"을 출품하여 최고상인 2등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았다.[3]
2. 2. 조각가로서의 활동
아사쿠라는 1907년 도쿄 예술대학의 전신인 도쿄 미술학교 조각과를 졸업하고,[2] 야나카 지역에 작업실을 차려 조각가로 활동을 시작했다. 일본 예술원의 연례 '분텐' 공모전에 참가하여 1908년 ''야미''(闇, "어둠")로 2등상을 수상하고,[3] 1910년에는 ''하카모리''(墓守, "묘지기")로 상을 받으며 주목받았다.[2][4][5] 그는 다양한 공식 미술 전시회에서 서양식 조각, 특히 누드 조각을 제작하고 전시했으며, 오쿠마 시게노부와 같은 유명 인물들의 초상 조각으로도 알려졌다.
1919년 제국미술원(''Teikoku Bijutsu-in'', 현재의 일본 예술원)에 임명되었고, 1921년에는 모교인 도쿄 미술학교의 교수가 되어[6] 1944년까지 그곳과 자신의 ''아사쿠라 초소 주쿠''("아사쿠라 조형 예술 학교")에서 많은 젊은 조각가들을 훈련시켰다. 1948년 문화훈장을 받았다.[2]
1934년 아틀리에를 개축하여 "아사쿠라 조소 숙"을 만들었으며, 1932년 와세다 대학 교빈이 되어 오쿠마 시게노부 10주기를 기념하여 오쿠마 시게노부상을 만들었다.
1935년 제국 미술원의 개혁에 따라 다시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937년에는 후계 제국 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1944년 도쿄 미술학교 교수를 사임하였다.
전후에도 1948년 제6회 문화훈장을 수훈하였고, 1949년 일전 운영회 (현 사단법인 일전) 상무이사, 1952년 문화공로자가 되었다.
2. 3. 교육자 및 말년
아사쿠라는 1921년 모교인 도쿄 미술학교의 교수가 되어[6] 1944년까지 그곳과 자신의 '아사쿠라 초소 주쿠'("아사쿠라 조형 예술 학교")에서 많은 젊은 조각가들을 훈련시켰다. 1948년 문화훈장을 받았다.[2]
그의 딸 朝倉摂|아사쿠라 세츠일본어 (1922-2014)와 朝倉響子|아사쿠라 쿄코일본어 (1925-2016)는 각자 예술가가 되었다. 세츠는 화가이자 무대 디자이너가 되었고, 쿄코는 조각가가 되었다.[7]
아사쿠라는 1964년 도쿄에서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1883년(메이지 16년), 오이타현 오노군 가미이다 촌(현 분고오노시 아사지마치) 촌장이었던 와타나베 요조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1남매 중 다섯째였던 아사쿠라 후미오는 1893년(메이지 26년) 10세 때 아사쿠라 타네히코(중의원 의원, 아사쿠라 치카나리의 동생)의 양자가 되었지만, 입학한 오이타현립 타케다 중학교(재학 중 "타케다 중학교"로 독립. 현 오이타현립 타케다 고등학교)를 세 번이나 낙제하여, 1902년(메이지 35년) 9살 위의 형 와타나베 쵸난을 의지하여 상경하게 된다. 처음에는 하이쿠를 지망하여 마사오카 시키에게 사사하려 했지만, 공교롭게도 상경한 날인 9월 20일이 마침 시키의 장례일이었다.
1924년 (다이쇼 13년)에 제국 미술원 회원이 되었지만, 1928년 (쇼와 3년), 제전 제도 개혁을 건의한 후에 사임. 같은 해의 제전은, 아사쿠라 문하의 작가들이 불출품을 합의했기 때문에, 전년까지의 나체상 난립은 없어졌다. 한편, 아사쿠라가 열었던 아사쿠라 숙에서는, 숙생들이 아사쿠라의 제전에 대한 행동을 "비예술적이다"라고 문제 삼았다. 같은 해 10월 18일, 안도 테루, 오쿠니 사다조, 호리에 나오시, 고무로 도오루, 마츠다 나오유키, 아카호리 신페이, 나카가와 기요시 등이 성명서를 제출하고 탈퇴했다.
1934년 (쇼와 9년)에 아틀리에를 개축하여 "아사쿠라 조소 숙"을 만든다 (후의 아사쿠라 조소관). 1932년 (쇼와 7년) 와세다 대학 교빈이 되어 오쿠마 시게노부 10주기를 기념하여 오쿠마 시게노부상을 만든다. 1935년 (쇼와 10년), 제국 미술원의 개혁에 따라 다시 회원으로 선출, 1937년 (쇼와 12년)에는 후계 제국 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1944년 (쇼와 19년) 도쿄 미술학교 교수를 사임하고 제실기예원 (7월 1일)이 되었다. 종3위, 훈4등서보장 수훈. 아틀리에는 전쟁의 화를 면했지만, 전시 중의 금속 공출 때문에 400여 점의 아사쿠라의 작품은 거의 소멸해 버린다 (원형은 300여 점이 남았다).
전후에도 정력적으로 자연주의적 사실 묘사에 철저한 정밀한 표현 자세를 일관되게 유지하며, 1948년 (쇼와 23년)에는 제6회 문화훈장을 수훈. 1949년 (쇼와 24년), 일전 운영회(현 사단법인 일전) 상무이사. 1952년 (쇼와 27년)에 문화공로자로, 1954년 (쇼와 29년), 일전 이사, 1956년 (쇼와 31년)부터 1959년 (쇼와 34년)까지 일본 예술원 제1부 부장. 1958년 (쇼와 33년)에는 일전의 고문으로 취임했다.
1964년 (쇼와 39년) 4월 18일,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사망. 정3위를 추증받았다. 묘소는 야나카 영원에 있는 텐노지의 비지에 있다.
3. 작품 세계
1910년 묘지기를 통해 제4회 문전(文展)에서 2등상을 수상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21] 이후 가토 히로유키상(1915년), 오쿠마 시게노부상(1932년, 1938년), 고무라 주타로상(1936년) 등 다수의 인물상을 제작했다. 그의 작품은 도쿄 대학, 와세다 대학, 국회의사당, 우에노역 등 일본 각지에 설치되어 있다.
3. 1. 주요 특징
페넬로페 메이슨의 『일본 미술사』에서는 아사쿠라가 고양이의 형태, 즉 목덜미를 잡힌 고양이, 웅크리고 먹이를 기다리는 고양이, 먹이를 먹는 고양이를 자주 다루었다고 평가한다.[8] 특히 1909년의 『매달린 고양이』는 그의 작품 중 훌륭한 예로, 조각의 모델링은 매우 입체적이지만, 관찰된 현상에 대한 충실함이 가장 인상적인 측면이라고 언급한다. 공중에 매달린 고양이의 불편함과 좌절감이 느껴지며, 매끄럽고 근육질의 몸을 감상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한다.[8]
아사쿠라는 동물을, 특히나 곁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고양이를 몹시 사랑하여, 많을 때는 집에 15~6마리의 고양이를 키웠다. 그는 고양이의 몸놀림이나 길러지면서도 야생성을 잃지 않는 신비함 등에 매력을 느껴 "매달린 고양이"(1909년), "잘 잡았다"(1946년) 등 자신의 작품에 여러 번 고양이를 등장시켰다.
1964년 도쿄 올림픽 개최에 맞춰 고양이에 관한 작품 100종을 완성하여 "고양이 백태 전시회"를 개최하고 싶어했지만, 작가의 죽음으로 이 소망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아사쿠라 후미오 독본"인 『고양이와 함께하는 140년, 그리고 현재』(오이타 현립 미술관 편, 헤이본샤, 2023년)에서도 아사쿠라와 고양이에 대한 내용이 소개되고 있다.
3. 2. 대표작
아사쿠라 후미오는 고양이 형태를 자주 다룬 조각가로, 1909년 작품 『매달린 고양이』는 관찰된 현상에 대한 충실함이 돋보인다는 평가를 받는다.[8] 그는 이 외에도 다양한 인물상과 조각 작품을 남겼다.
작품명 | 제작 연도 | 소장/설치 장소 | 비고 |
---|---|---|---|
산에서 온 사람 | 1909년 | ||
묘지기 | 1910년 | 아사쿠라 후미오 기념관, 아사쿠라 조소관, 도쿄 국립 근대 미술관 등 | 제4회 문전(文展) 2등상 수상,[21] 석고 원형은 중요문화재[22] |
보르네오의 원주민 (1), (2) | 1911년 | ||
휴식을 취하는 사자, 포효하는 사자 | 1944년 | ||
가토 히로유키상 | 1915년 | 도쿄 대학 종합 도서관 | 1916년 제10회 문부성 미술 전람회 출품[23] |
오스카르 켈너상 | 1915년 | 도쿄 대학 농업부 | [24] |
시간의 흐름 | 1917년 | 아사쿠라 후미오 기념관, 아사쿠라 조소관 | |
오쿠마 시게노부상 | 1932년 | 와세다 대학, 아사쿠라 조소관 | 신주쿠구 지정 유형 문화재[25] |
고무라 주타로상 | 1936년 | 아사쿠라 조소관 (FRP 레플리카) | [26] |
오쿠마 시게노부상 | 1938년 | 국회의사당 1층 중앙 광장 | [27] |
아리사카 치카조상 | 1940년 | 도쿄 대학 공학부 정밀 기계 공학과 | [28] |
하야카와 도쿠지상 | 1940년 | 히비야선 긴자역 2층 메트로 프로무나드 | 지하철 사업 실현을 목표로 한 하야카와의 자수포상 수상을 기념[29] |
삼상 | 1950년 | 아사쿠라 후미오 기념관, 아사쿠라 조소관, 우에노역 중앙 개찰구 앞 | |
오타 도칸상 | 1952년 | 도쿄 국제 포럼 | 1956년 건립 당시 마루노우치에 있던 도쿄도청 제1청사 정면에 설치, 이후 이전[30] |
날개의 상 | 1953년 | 우에노역 그랜드 콘코스 | 우에노역 개설 70주년, 특급 하쓰카리 운행 개시 기념 |
시부사와 에이이치상 | 1955년 | 도키와바시 공원(도쿄도 지요다구) | 1933년 시부사와 사망일에 맞춰 제작된 상이 금속 공출로 철거된 후 재제작[32] |
오자키 유키오상 | 1958년 | 헌정기념관 | |
5대 오노에 키쿠고로 흉상, 9대 이치카와 단주로 흉상 | 가부키자 | ||
가노 지고로상 | 1936년 원형, 1958년 재건 | 도쿄도 분쿄구 센슌엔 | |
이노우에 마사루상 | 1959년 | 도쿄역 마루노우치 출구 | |
비둘기 포포 노래비 | 1962년 | 아사쿠사(도쿄도 다이토구) | |
오타니 마이지로 부부상 | 1962년 | 킨류잔 아사쿠사(도쿄도 다이토구) | |
탄생 | 1964년 | 서민 풍속 자료관(도쿄도 다이토구 우에노 공원) | [31] |
오구리 고즈케노스케 다다요시상 | 1985년 | 가나가와현 요코스카시 자연 인문 박물관 앞뜰 | |
자운의 샘・구름 | 1974년 | 아사쿠사(도쿄도 다이토구) | |
구마가와 무네오상 | 제작 연도 불명 | 도쿄 대학 의학부 2호관 동쪽 | 도쿄 대학 의학부 생화학 교실 소장[33] |
야마우치 시즈이치상 | 제작 연도 불명 | 도쿄 대학 공학부 정밀 기계 공학과 | [34] |
아오키 타모츠상 | 제작 연도 불명 | 도쿄 대학 공학부 정밀 기계 공학과 | [35] |
4. 예술관 및 영향
아사쿠라는 동양란 재배, 꽃꽂이, 분재 등에 조예가 깊었으며, '동양란 만드는 법'(삼성당 서점, 1940년)이라는 저서를 남겼다. 고바야시 노리오와 함께 당시 취미로 여겨지던 분재의 예술적 가치를 발견하고 "국풍분재전" 개최에 힘썼다.[1] 또한 자신의 조소 학원에서 원예를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고, 조소 작품의 야외 전시를 적극적으로 실시하는 등 자연과의 교감을 예술의 기본 개념으로 생각했다.[1]
1936년 신문전 초대 전시회장에서 일본화에 대한 감상을 묻자 "병풍은 낡은 부분을 가리는 데 사용하는 것이고, 다다미방이야말로 일본화를 감상하기에 최적의 장소이다. 일본화는 병풍에서 족자로 돌아가야 한다"라고 비판적인 견해를 밝혔다.[20]
4. 1. 원예 및 자연과의 교감
아사쿠라는 동양란 재배, 꽃꽂이, 분재 등에 조예가 깊어 '동양란 만드는 법'(삼성당 서점, 1940년)이라는 저서를 남겼다. 고바야시 노리오와 함께 당시 취미에 불과했던 분재의 예술적 가치를 발견하여 현재도 개최되고 있는 "국풍분재전" 개최에 힘썼다.[1]또한 자신의 조소 학원에서도 "원예"를 필수 과목으로 지정했으며, 지금도 남아있는 아사쿠라 조소관의 옥상 채소밭에서는 토마토나 무를 기르는 등 자연과의 교감을 예술의 기본 개념으로 생각하여 조소 작품의 야외 전시도 적극적으로 실시했다.[1]
4. 2. 일본화에 대한 비판
1936년 신문전 초대 전시회장에서 일본화에 대한 감상을 묻자 "병풍은 낡은 부분을 가리는 데 사용하는 것이고, 다다미방이야말로 일본화를 감상하기에 최적의 장소이다. 일본화는 병풍에서 족자로 돌아가야 한다."라고 말했다.[20]5.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와타나베 요조 | 우에이다 촌장 |
형 | 와타나베 나가오 | 조각가, 아내는 오카자키 세츠의 딸 |
남동생 | 오츠카 타츠오 | 조각가, 아들은 성우 오츠카 치카오(아사쿠라 후미오가 이름 지음), 손자는 성우 오츠카 아키오 |
장녀 | 아사쿠라 세츠 | 무대 미술가·화가, 딸은 배우 토미자와 아코 |
차녀 | 아사쿠라 쿄코 | 조각가 |
6. 유산
오이타현 오이타시에는 아사쿠라 후미오를 기념하는 "아사쿠라 후미오상 조소전(통칭 '아사쿠라상', '아사쿠라전')"이라는 상이 있다. 이와 유사한 상으로는 "후쿠다 헤이하치로상 도화전", "다카야마 다쓰오상 주니어 미술전"이 있다.
6. 1. 아사쿠라 조각 박물관
도쿄 다이토구 야나카에 아사쿠라 조각 박물관이 있다. 1967년에 개관한 이 박물관은 아사쿠라의 자택과 조각 작업실을 보존하고 있다. 3층 규모의 작업실은 1936년에 철근 콘크리트로 지어졌으며, 아사쿠라의 개인 학교로도 사용되었다. 이곳에는 도쿄에서 가장 오래된 옥상 정원이 있는데, 아사쿠라의 제자들이 감각을 연마하고 자연에 익숙해지도록 하기 위해 정원 가꾸기를 교육 과정의 일부로 배웠다.오이타현 분고오노시 아사지에는 아사쿠라의 고향에 위치한 아사쿠라 후미오 조각 박물관이 있다.
6. 2. 아사쿠라 후미오 기념관
아사쿠라 후미오의 작품을 전시하는 두 개의 박물관이 있다.- 아사쿠라 조각 박물관은 도쿄도 다이토구의 야나카에 있다. 1967년에 개관한 이 박물관은 아사쿠라의 자택과 조각 작업실을 보존하고 있다. 3층 규모의 작업실은 1936년에 철근 콘크리트로 지어졌으며, 아사쿠라의 개인 학교로도 사용되었다. 이곳에는 도쿄에서 가장 오래된 옥상 정원이 있는데, 아사쿠라의 제자들이 감각을 연마하고 자연에 익숙해지도록 하기 위해 정원 가꾸기를 교육 과정의 일부로 배웠다.
- 오이타현 분고오노시의 아사지에 있는 아사쿠라 후미오 조각 박물관은 아사쿠라의 고향에 있다.
출신지인 오이타현의 현청 소재지인 오이타시에는 아사쿠라를 기념하는 "아사쿠라 후미오상 조소전(통칭 '아사쿠라상', '아사쿠라전')"이라는 이름의 상이 있다. 이와 유사한 것으로는 "후쿠다 헤이하치로상 도화전", "다카야마 다쓰오상 주니어 미술전"이라는 상도 존재한다.
6. 3. 아사쿠라 후미오상 조소전
오이타현 오이타시에는 아사쿠라를 기념하는 "아사쿠라 후미오상 조소전(통칭 '아사쿠라상', '아사쿠라전')"이라는 상이 있다. 이와 유사한 것으로는 "후쿠다 헤이하치로상 도화전", "다카야마 다쓰오상 주니어 미술전"이라는 상도 있다.[1]참조
[1]
서적
Faith and Power in Japanese Buddhist Art, 1600-2005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7
[2]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Japanese Art
Kodansha International in Collabo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Educational Information
1981
[3]
웹사이트
朝倉文夫と彫塑館について - 台東区立朝倉彫塑館
http://www.taitocity[...]
[4]
웹사이트
The Independent Administrative Institution National Museum of Art - Collections
http://search.artmus[...]
2017-04-17
[5]
웹사이트
墓守 | 台東区立朝倉彫塑館
https://web.archive.[...]
2017-04-17
[6]
서적
Who's Who Among Japanese Artists
Print. Bureau, Japanese Govt
1961
[7]
서적
The Mountain Is Moving: Japanese Women's Lives
UBC Press
1999
[8]
서적
History of Japanese Art
Pearson Prentice Hall
2005
[9]
서적
Green Roofs: Ecological Design and Construction
Schiffer Pub
2005
[10]
웹사이트
Fumio Asakura Museum of Sculpture (Asakura Fumio Memorial Park) - Japan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https://www.jnto.go.[...]
2017-04-17
[11]
뉴스
彫刻家の朝倉響子さんが死去
http://www.sankei.co[...]
2016-05-31
[12]
문서
南航の發端
https://dl.ndl.go.jp[...]
東和出版社
1943
[13]
뉴스
正式に辞表を提出
大阪毎日新聞
1928-10-08
[14]
뉴스
朝倉派の脱退で型を破る彫刻館
大阪毎日新聞
1928-10-11
[15]
뉴스
朝倉塾ついに分裂、残る者わずか二十人
中外商業新報
1928-10-18
[16]
뉴스
帝国美術院の改組を閣議承認
大阪毎日新聞
1935-05-29
[17]
간행물
官報
1944-07-03
[18]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辞典 第5版
株式会社三省堂
2009
[19]
웹사이트
組織概要・沿革・定款等
https://nitten.or.jp[...]
日展 公式サイト
2018-08-26
[20]
뉴스
後半の招待展、平生文相も姿を見せる
東京朝日新聞
1936-11-07
[21]
웹사이트
墓守〈朝倉文夫作/石膏原型〉
https://kunishitei.b[...]
文化庁
2022-10-13
[22]
웹사이트
墓守〈朝倉文夫作/石膏原型〉
https://kunishitei.b[...]
文化庁
2022-10-13
[23]
웹사이트
東京大学所蔵肖像画・肖像彫刻
http://umdb.um.u-tok[...]
2022-10-12
[24]
웹사이트
東京大学所蔵肖像画・肖像彫刻
http://umdb.um.u-tok[...]
2022-10-12
[25]
문서
大隈重信銅像
http://www.regasu-sh[...]
[26]
웹사이트
朝倉文夫
https://www.tobunken[...]
2022-10-28
[27]
웹사이트
TOKYO銅像マップ 霞ヶ関〜日比谷
https://rekigun.net/[...]
ワンパブリッシング
2022-10-14
[28]
웹사이트
東京大学所蔵肖像画・肖像彫刻
http://umdb.um.u-tok[...]
2022-10-12
[29]
웹사이트
TOKYO銅像マップ 人形町〜浜離宮
https://rekigun.net/[...]
ワンパブリッシング
2022-10-14
[30]
웹사이트
TOKYO銅像マップ 皇居〜東京駅周辺
https://rekigun.net/[...]
ワンパブリッシング
2022-10-14
[31]
웹사이트
朝倉文夫作《生誕》像が資料館横に再設置されました。
https://www.taitocit[...]
台東区立下町風俗資料館
2022-10-14
[32]
웹사이트
TOKYO銅像マップ 皇居〜東京駅周辺
https://rekigun.net/[...]
ワンパブリッシング
2022-10-14
[33]
웹사이트
東京大学所蔵肖像画・肖像彫刻
http://umdb.um.u-tok[...]
2022-10-12
[34]
웹사이트
東京大学所蔵肖像画・肖像彫刻
http://umdb.um.u-tok[...]
2022-10-12
[35]
웹사이트
東京大学所蔵肖像画・肖像彫刻
http://umdb.um.u-tok[...]
2022-10-12
[36]
웹사이트
友の像|関西大学 年史編纂室
https://www.kansai-u[...]
[37]
문서
キリスト銅像(清水多嘉示作)、ソクラテス青銅像(藤川勇造作)、孔子銅像(北村西望作)、釈迦木像(田島亀彦作)、聖徳太子白銅像(朝倉文夫作)、空海|弘法大師木像(長谷川枡蔵作)、親鸞銅像(長谷秀雄作)、日蓮銅像(日名子実三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